후원회원이 되어 청어람을 함께 만들어주세요
후원회원에게는 청어람 모임/강좌 30% 할인 혜택이 적용됩니다.
후원회원이 되어 청어람을 함께 만들어주세요
후원회원에게는 청어람 모임/강좌 30% 할인 혜택이 적용됩니다.
계엄 이후 맞이한 설날에는 오랜 만에 모인 가족들 사이에서 ‘밥상 앞에서 정치 이야기 꺼내지 않기’가 미덕이었다고 합니다. 서로의 정치적 입장을 알아차리고 좁혀지지 않는 간극을 메울 노력은 엄두가 나지 않으니 모두가 하나같이 입을 닫기로 약속한 것이지요. 비단 설날의 집안 풍경만이 이러했을까요? 교회에서, 직장에서, 학교에서 나의 이야기가 불러올 파장이 두려워 입을 닫았던 순간이 여러분에게 있지 않으신가요?
황해문화 속 “침묵은 답이 아니다”의 글쓴이 김꽃비는 이렇게 말합니다. “누더기가 되어버린 사회일지라도 결국 우리가 함께 살아가야 한다. 2025년에는 침묵하기로 결심한 주제에 대해 누군가와 대화해보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면 좋겠다. 이토록 평범해 보이는 실천들이 모여 다시 한번 우리를 연결시켜주지 않을까. 크고 작은 공론장에서 당신과 함께 계엄 이후의 삶을 씩씩하게 상상하고 싶다.”
“나중이 없는 민주주의,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 대화 모임은 우리의 이야기를 포기하지 않고 씩씩하게 상상하기 위해 마련 되었습니다. 전문가의 분석을 넘어, 동료 시민들의 목소리를 듣고, 자신의 이야기를 직접 나누며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을 그려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진행
김유미(청어람ARMC 간사)
함께 읽을 책
황해문화 2025년 봄호 126호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
이런 분들께 권합니다
-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를 전문가의 분석이 아니라 동료시민들의 경험과 언어로 나누고 싶은 분
- 안전한 공간에서 공론장에서 ‘나중’으로 밀려났던 이야기를 꺼내보고 싶은 분
- 새로운 세상을 함께 꿈꾸고, 함께 그린 세상으로 나아갈 용기를 얻고 싶은 분
이렇게 진행합니다
- 총 3주간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 참가자는 각 주차마다 약속된 분량의 황해문화 126호를 읽어옵니다.
- 주차 별 준비된 질문으로 이야기 나눕니다.
- 인상 깊게 읽은 단락을 나누고, 그 이유를 말합니다.
- 이야기의 독점을 막기 위해 발언의 횟수와 시간을 사전에 정합니다.
- 모임의 소감을 나누며 마무리 합니다.
세부 일정 및 토론 주제
- 1주차: "우리는 무엇을 보았고, 무엇을 느꼈나요?"
질문: 12.3 내란 당일부터 지금까지 어떤 활동을 했고, 그 활동 속에서 무엇을 느꼈나요?
읽을 자료: 황해문화 2025년 봄호 126호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 18-163p - 2주차: "이 엉망진창 세상을 사랑할 방법은 없을까요?"
질문: 이 세상을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읽을 자료: 황해문화 2025년 봄호 126호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 166-325p - 3주차: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으로 함께 갑시다"
질문: 각자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은 무엇인가요? 그 세상에서 나는 어떻게 살고 있나요?
읽을 자료: 황해문화 2025년 봄호 126호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 328-412p
참여방법
- 일정 : 2025년 4월 23일~5월 7일 (매주 3회, 수) 저녁 7시 30분
- 참가비 : 3만원 (청어람 후원 회원 30% 할인)
- 모집 인원 : 12명
- 진행 방식 : 온라인 줌
청어람 모임 및 강의 환불규정
1. 온/오프라인으로 진행하는 [모임]의 경우 모임 시작 전일까지 전액 환불이 가능합니다. 모임 시작일 당일부터는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2. [온라인 강의]의 경우 영상을 시청하셨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다음 기준으로 환불이 가능합니다.
- 수강신청 후 1시간 이내 환불을 요청하신 경우 전액 환불
- 수강신청 후 48시간 이내에 환불을 요청하신 경우, 총 강의수에 비례해 1/n을 제하고 환불
- 수강신청 후 48시간 이후는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환불 요청은 마이페이지 > 수강내역에서 취소 요청을 하시면 됩니다.
후원회원이 되어 청어람을 함께 만들어주세요
후원회원에게는 청어람 모임/강좌 30% 할인 혜택이 적용됩니다.
후원회원이 되어 청어람을 함께 만들어주세요
후원회원에게는 청어람 모임/강좌 30% 할인 혜택이 적용됩니다.
계엄 이후 맞이한 설날에는 오랜 만에 모인 가족들 사이에서 ‘밥상 앞에서 정치 이야기 꺼내지 않기’가 미덕이었다고 합니다. 서로의 정치적 입장을 알아차리고 좁혀지지 않는 간극을 메울 노력은 엄두가 나지 않으니 모두가 하나같이 입을 닫기로 약속한 것이지요. 비단 설날의 집안 풍경만이 이러했을까요? 교회에서, 직장에서, 학교에서 나의 이야기가 불러올 파장이 두려워 입을 닫았던 순간이 여러분에게 있지 않으신가요?
황해문화 속 “침묵은 답이 아니다”의 글쓴이 김꽃비는 이렇게 말합니다. “누더기가 되어버린 사회일지라도 결국 우리가 함께 살아가야 한다. 2025년에는 침묵하기로 결심한 주제에 대해 누군가와 대화해보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면 좋겠다. 이토록 평범해 보이는 실천들이 모여 다시 한번 우리를 연결시켜주지 않을까. 크고 작은 공론장에서 당신과 함께 계엄 이후의 삶을 씩씩하게 상상하고 싶다.”
“나중이 없는 민주주의,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 대화 모임은 우리의 이야기를 포기하지 않고 씩씩하게 상상하기 위해 마련 되었습니다. 전문가의 분석을 넘어, 동료 시민들의 목소리를 듣고, 자신의 이야기를 직접 나누며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을 그려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진행
김유미(청어람ARMC 간사)
함께 읽을 책
황해문화 2025년 봄호 126호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
이런 분들께 권합니다
-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를 전문가의 분석이 아니라 동료시민들의 경험과 언어로 나누고 싶은 분
- 안전한 공간에서 공론장에서 ‘나중’으로 밀려났던 이야기를 꺼내보고 싶은 분
- 새로운 세상을 함께 꿈꾸고, 함께 그린 세상으로 나아갈 용기를 얻고 싶은 분
이렇게 진행합니다
- 총 3주간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 참가자는 각 주차마다 약속된 분량의 황해문화 126호를 읽어옵니다.
- 주차 별 준비된 질문으로 이야기 나눕니다.
- 인상 깊게 읽은 단락을 나누고, 그 이유를 말합니다.
- 이야기의 독점을 막기 위해 발언의 횟수와 시간을 사전에 정합니다.
- 모임의 소감을 나누며 마무리 합니다.
세부 일정 및 토론 주제
- 1주차: "우리는 무엇을 보았고, 무엇을 느꼈나요?"
질문: 12.3 내란 당일부터 지금까지 어떤 활동을 했고, 그 활동 속에서 무엇을 느꼈나요?
읽을 자료: 황해문화 2025년 봄호 126호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 18-163p - 2주차: "이 엉망진창 세상을 사랑할 방법은 없을까요?"
질문: 이 세상을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읽을 자료: 황해문화 2025년 봄호 126호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 166-325p - 3주차: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으로 함께 갑시다"
질문: 각자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은 무엇인가요? 그 세상에서 나는 어떻게 살고 있나요?
읽을 자료: 황해문화 2025년 봄호 126호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세상 328-412p
참여방법
- 일정 : 2025년 4월 23일~5월 7일 (매주 3회, 수) 저녁 7시 30분
- 참가비 : 3만원 (청어람 후원 회원 30% 할인)
- 모집 인원 : 12명
- 진행 방식 : 온라인 줌
청어람 모임 및 강의 환불규정
1. 온/오프라인으로 진행하는 [모임]의 경우 모임 시작 전일까지 전액 환불이 가능합니다. 모임 시작일 당일부터는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2. [온라인 강의]의 경우 영상을 시청하셨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다음 기준으로 환불이 가능합니다.
- 수강신청 후 1시간 이내 환불을 요청하신 경우 전액 환불
- 수강신청 후 48시간 이내에 환불을 요청하신 경우, 총 강의수에 비례해 1/n을 제하고 환불
- 수강신청 후 48시간 이후는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환불 요청은 마이페이지 > 수강내역에서 취소 요청을 하시면 됩니다.